티스토리 뷰

원시시대의 교육

의식주해결이라는 절박한 상황 속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전달
협동과 단결을 위하여 의식을 통일하기 위한 의식교육

교육적 의의
목적의식이 뚜렷했다는 점
학습의 동기가 높았음
낭비와 학습의 결손을 찾을 수 없음



삼국시대의 교육
삼국시대 교육의 성립과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 - 유교와 불교
유교는 형식적 교육 발전, 불교는 비형식적 교육의 발전에 기여, 대중의 종교적 신념과 가치관의 형성에 크게 기여

고구려의 교육
최초의 관학인 태학(太學), 사학의 시초인 경당

백제의 교육
백제에 학교가 있었다는 기록 없음
박사제도가 존재하여 상당한 수준의 고등교육이 이루어짐

신라의 교육
통일 이전: 화랑도를 통한 청소년 교육과 불교에 의한 사회교육
통일 이후: 당의 국자감 제도를 모방하여 국학(國學) 세움


고려시대의 교육

관학: 국자감, 향교, 동서학당 및 5부학당
사학: 12공도, 서당

조선시대의 교육
성리학을 정치이념으로 삼는 숭유억불 정책
성리학파의 교육사상
학교기관: 관학- 성균관, 사학, 향교
사학- 서원, 서당
 특수교육기관: 경연, 장악원, 사역원, 세자시강원, 전의감, 종학, 훈련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