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무분석과 직무설계
(1) 직무분석
① 직무분석의 정의
• 직무(Job): 조직의 목적달성을 위해 주어지는 과업들의 집합
• 직무분석: 각 직무의 내용, 특징, 자격 요건을 분석하여 다른 직무와의 질적인 차이 를 분명하게 하는 절차
- 직무를 구성하고 있는 활동,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경험, 기능, 지식, 능력, 책임뿐만 아니라 그 직무가 타 직무와 구별되는 요인을 명확히 밝혀서 기술하는 수단
② 직무분석의 용도
•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작성하기 위한 것
• 종업원의 채용 및 선발의 기준, 교육 내용의 결정, 인사고과 등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음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
• 특정 직무의 의무와 책임에 관 한 조직적이고 사실적인 해설
서
• 직무수행 내용, 의무와 책임, 직무 수행에서 사용되는 장비 및직무환경등종업원과관 리자에게 직무에 관한 개괄적 인 정보를 제공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
•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직
무담당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능력, 기타 신체적 특성과 인성 등의 인적 요건을 기록한 양식
• 주로 신규 인력 채용시에 사용되며 필요요건을 보다 명확히 제시
(2) 직무설계
• 직무설계(job design): 개개인이 수행해야 할 과업과 책임의 범위를 정하는 과정
• 가장 중요한 과제: 직무의 성과와 직무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도록 하는 것
③ 직무분석 방법
• 질문지법 : 질문지를 통해 직무에 대한 정보를 구하는 방법으로, 질문지의 내용 및 구성 방식, 응답자의 작성 능력 및 태도 등이 중요함
• 관찰법: 직무가 관찰 가능한 물리적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사용됨 정신적 활동이나 간혹 행해지는 활동으로 구성된 직무의 경우에서 적절하지 못함
• 면담법: 직무담당자와의 면담은 개별 면담 혹은 집단 면담의 두 가지 유형이 있음 집단 면담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무 활동을 수행하는 종업원들을 한꺼번에 면담하는 방식이어서 빠른 시간 내 많은 정보 수집 가능
② 직무 충실화
• 과업의 수적 증가뿐만 아니라 직무에 대해 갖은 통제범위를 증가시켜 수평적 업무 추가와 수직적 책임 부여
• 직무의 범위뿐만 아니라 직무의 내용 확대
- 허즈버그 : 직무의 수직 확대
• 허즈버그가 직무 충실화를 위해 제시한 일곱 가지 원칙(표 7-4)
- 종업원들은 자신의 작업 성과뿐만 아니라 작업 계획과 평가(통제)까지도 관여
(2)
③ 직무특성에 의한 직무설계
• 직무충실화 및 직무특성을 이용한 직무설계 전략
- 직무내용 자체의 설계보다는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와 성과 향상에 그 의의
• 핵심적인 직무특성: 다섯 가지 요소
- 기술의 다양성, 과업의 정체성, 과업의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 직무 수행 시 일의 보람이나 책임감, 결과에 대한 이해 증대 è 개인 및 직무 성과 달성
- #일본만화
- #멤라이즈
- #원피스스트리밍
- #헬로톡
- #피서지추천
- #용추계곡
- #가평여행
- 드라마정리
- #픽코마
- #김지훈
- #퇴마드라마
- #만화어플
- #라프텔
- #유튜브학습
- #일본웹툰
- #듀오링고
- #원피스한글자막
- #2025년드라마
- #정식번역
- #만화사이트
- #탄뎀
- #로맨스코미디
- #판타지사극
- #만화추천
- #외국어학습
- #언어공부
- #원피스다시보기
- #팟캐스트학습
- #무료학습
- #언어교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