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집과 선발, 배치

 

(1)   모집

 

직무 명세서에서 요구하는 자격을 갖춘 직무 후보자 집단을 조직으로 유인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

 

 

 

 

 내부모집: 현직 혹은 전직 종업원 중에서 적합한 인재를 찾으므로 어느 정도 검증된 인력을 채용할 수 있어서 안정적

 

 

 

 외부모집: 모집 범위가 넓고 새로운 인재를 찾을 수 있음

 

 

 

 

모집과 선발, 배치

 

 내부모집: 조직 내부에서 적절한 사람을 추천하여 채용하는 것

 

       방법: 사내공고, 내부승진, 배치전환, 직무순환, 재고용이나 재소환 등

 

 

 

- 사내공고제도: 현직 종업원에게 현재 결원이 발생한 직무를 알려주고 응모하도록 하는 방법

 

- 내부승진: 기업 내 현직에 있는 종업원 중 내부승진을 통해 적임자를 확보하는 방법

 

-     배치전환

 

-     직무순환: 종업원들에게 여러 직무에의 경험을 갖도록 함

 

-     재고용: 해고된 종업원을 재고용

 

-     재소환: 이직한 종업원의 재소환

 

모집과 선발, 배치

 

    내부모집

 

        장점

 

-     비용절감

 

-     승진기회 제공

 

-     적응시간 단축

 

-     검증된 인력 채용

 

 

 

        단점

 

-        모집범위의 한계

 

-        내부 이동으로 인한 혼란

 

-        승진 탈락 시 근무의욕 저하

 

모집과 선발, 배치

 

     외부모집

 

㉠ 방법:

 

       일반공고 모집: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대중매체나 인터넷을 이용한 공개모집

 

       연고모집: 관련분야 교육기관(직업훈련원, 대학 등)의 추천, 다른 기업에서의 스카우트, 기업설명회

 

및 취업박람회 활용, 현직 종업원들로 하여금 외부의 적임자를 찾아 응모하도록 하는 방법 등

 

㉡ 장점

 

        지식의 유입

 

        조직 내 새로운 정보

 

        경력자 채용 시 비용 절감

 

㉢ 단점

 

       시간과 비용 부담

 

       조직 적응 시간 소요

 

       부적격자 채용의 위험

 

모집과 선발, 배치

 

채용은 모집, 선발, 배치 단계로 진행

 

(2)     선발

 

       직무수행에 필요한 자격요건과 기술, 지식, 교육 정도를 비교, 검토하여 의사결정, 모집된 사람들 중 가장 적합한 인재를 선별하여 뽑는 과정

 

 

 

        선발기준

 

-     최대한의 능력 발휘와 특정 업무에 대한 수행 여부 판단이 중요

 

-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공정성을 유지하면서

 

신속한 의사결정 방침 확립

 

 

        선발과정

 

-       서류전형: 지원서 및 신청서 검토

 

-       선발시험: 인성 및 적성검사, 능력검사, 실기시험 등

 

-       면접: 1, 2차로 나누어 실시, 개별 또는 집단면접

 

-        신체검사, 경력조회

 

-        최종선발 및 배치

 

 

 

 

 

(3)     배치

 

       최종 선발된 인원이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배속시키는 활동

 

       채용한 종업원을 직무기술서에 명시된 수행직무와 요건에 맞게 연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