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Red Hat (레드햇) 홈페이지 회원가입 - 계정 생성 방법 절차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오픈소스 기반 리눅스 솔루션으로 유명한 Red Hat (레드햇) 공식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계정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Red Hat 계정이 있으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다운로드
- 개발자 전용 RHEL 무료 서브스크립션
- OpenShift, Ansible, JBoss 등 다양한 제품 체험
- 기술 문서/가이드/보안 패치 열람
- 고객지원 포털 이용
Red Hat은 특히 기업용 리눅스, 서버 가상화, DevOps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개발자나 IT 관리자라면 계정 하나쯤은 꼭 만들어 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Red Hat 공식 홈페이지 접속
접속 후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회원가입(Sign In)”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후에 - > “Register” 클릭
쿠키는 승인 눌러주고..
우측 상단 로그인 클릭
우측 상단 레지스터 클릭
회원가입 양식 작성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항목 | 설명 |
---|---|
Username | 영문 소문자 / 숫자 조합 (계정 ID) |
인증 메일을 받을 이메일 주소 | |
Password | 영문+숫자+특수문자 포함된 안전한 비밀번호 |
Full Name | 실명 (영문 이름) |
Company Name | 소속 회사나 개인 이름 (필수) |
Phone Number | 국제번호 포함 (예: +82-10-xxxx-xxxx) |
Country | 대한민국(Korea, Republic of) 선택 |
→ 하단에 약관 동의 (Terms & Privacy Policy) 체크 후 Create My Account 클릭!
로그인 확인
다시 https://www.redhat.com으로 이동해 로그인(Sign In)을 클릭하고,
가입 시 사용한 Username(또는 Email) 과 Password로 로그인
성공적으로 로그인되면 상단에 프로필 표시되고, Customer Portal이나 Developer Download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TIP : RHEL 무료 개발자용 구독 신청하기
Red Hat은 개발자용으로 1년 무료 RHEL 사용 구독도 제공합니다.
- 로그인 후 Red Hat Developer Site 접속
- [Download RHEL] 메뉴 클릭
- 무료 서브스크립션 신청 → ISO 이미지 다운로드 가능
이 방법으로 RHEL 최신 버전을 무료로 체험하고 실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한 절차를 통해 Red Hat 계정을 만들어 두면 앞으로 오픈소스 기반의 다양한 인프라 실습이나 제품 체험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RHEL 서버 구축, OpenShift 컨테이너 실습, Ansible 자동화 등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가입해보세요! 감사합니다!
- 엔비디아계정등록
- 엔터프라이즈it
- 시스코개발자계정
- ccna계정
- cudnn다운로드
- #판타지사극
- 시스코회원가입
- #로맨스코미디
- 그래픽개발자계정
- nvidiadeveloper
- #김지훈
- 엔비디아개발자계정
- cisco계정만들기
- 딥러닝개발계정
- #2025년드라마
- #sbs드라마
- 인텔계정만들기
- 글로벌개발사이트
- cisco기술자료
- ciscodevnet
- cisco펌웨어다운로드
- cuda가입방법
- 네트워크계정
- ai계정만들기
- #귀궁
- #퇴마드라마
- 시스코파트너계정
- 인텔도구다운로드
- nvidia회원가입
- gpu컴퓨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